카테고리 없음

[자동 매매 시스템 구축하기] 키움증권 Open API 모듈 설치

모듈이라 함은 정말 기본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지금 당장 여기서 이해하지 않아도 추후에 코드를 구축하다보면 모듈이란 무엇인지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코드를 짜는 데에 있어 모듈이라는 개념이 중요하지도 않다.

 

 

모듈 설치하기

키움증권 Open API를 사용하기로 했으니,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Open API 모듈을 설치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키움증권 사이트 내에서 하단부의 Open API를 클릭하고, 절차에 따라 신청하라는 것들을 진행해주면 된다.

Open API 사용신청을 하고, Open API를 설치하고, KOA Studio를 설치하면 된다. 그냥 파일을 눌러서 다운로드 해주면 알아서 다 설치되니, ①Open API 모듈②KOA Studio를 설치하고 오도록 하자.

여기서 Open API 모듈은 우리가 코드 내에서 사용할 내용이고 키움증권에서 제공하는 Open API 그 자체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내용은 살펴보지 않아도 되는데, 그렇다면 KOA Studio는 뭘까?

 

 

KOA Studio ?

프로그램을 실행해보면 여러 가지 메뉴들이 나오는데, 하단의 [실시간목록], [TR목록], [종목정보], [개발가이드], [화면목록]이라는 다섯 개의 메뉴가 있고 그 중 [TR목록] 내에 들어가서 보면 opt10001부터 마지막에는 opw20017까지 엄청나게 많은 TR들이 있다. [실시간목록] 메뉴 내에는 Real Type이라는 이름으로 분류되어 있는 것들이 있는데, 이 데이터들이 바로 실제로 장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들 중 Open API 프로그램을 통해 내가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들에 해당한다.

다시 말해, KOA Studio는 단순하게 키움증권 Open API를 사용하는 과정에 있어서 "내가 어떤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고 키움증권 서버에서는 어떤 데이터를 반환시켜줄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이다. 실제로 게시글 내에서 다루지 않은 데이터들 같은 경우에는 직접 KOA Studio에 들어가서 해당 데이터를 얻어오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는 무엇인지 그리고 반환되는 데이터의 형태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 확인해보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추후 데이터를 요청하고 반환받을 때 설명하도록 하자.

 

 

 


728x90
반응형
Contents

포스팅 주소를 복사했습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 부탁드립니다.